김종직(1431-1492/세종13-성종23)은 조선초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본관은 선산, 자는 효관, 계온, 호는 점필재, 시호는 문충이다. 1431년 밀양 대동리(한골)에서 태어났다. 1457년(세조3) 유명한 '조의제문'을 짓고, 1459년(세조5) 과거에 급제하면서 관료생활을 시작하였다.

1470(성종 원년) 함양군수로 부임했을 때 문하에 학도가 운집하여, 김굉필, 정여창 등이 수학하였다. 그 후 10년간 문한, 사관, 경연관, 전주 등의 맑고 깨끗한 중요 직책을 계속 맡았다.

1489년(성종20) 밀양으로 낙향하여, 학문과 후학 지도에 전념하다가 1492(성종23) 8월 19일에 돌아가셨다.

1498년(연산군4) 무오사화로 부관참시되었다가 1507년(중종2)에 중종반정으로 벼슬과 시호등이 복권되었다.

1689년(숙종15) 영의정에 증직되고, 1708년(숙종34) '文簡'에서 '文忠'으로 시호가 고쳐졌다.

밀양의 禮林서원을 비롯하여 구미의 金烏, 함양의 柏淵, 김천의 景濂·德林서원 등에 제향되었다.


★개실마을 점필재 종택★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에는 선산 김씨들이 모여사는 한옥마을 집성촌이 있다. 500여년전 무오사화 때 화를 면한 김종직의 후손들이 이곳에 정착하면서부터 지금까지 18대째 종가가 대를 이어오고 있다.

현재, 종택 뒤쪽에 사당이 있으며, 2011년 교지 등 고문서 79점이 보물 제1725호로 지정되었다. 점필재 유물과 유품의 일부는 대가야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조의제문★

김종직이 1457(세조3) 10월에 쓴 글이다. 항우에게 죽은 초나라 의제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하는 내용으로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단종을 의제에 비유하여 세조의 왕위찬탈을 비난한 것이다. 후에 제자인 김일손이 사관으로 있을 때 이 글을 사초에 적어 넣었는데, 이것이 무오사화의 원인이 되었다.


★무오사화★

1498년(연산군4) 7월 김일손 등 신진사류가 유자광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이다. 성종대 이후 김종직과 그의 제자들인 사람파가 중앙에 등용되면서 훈구파와의 대립이 심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종실록>의 편찬 때 사초에 실린 '조의제문'이 문제가 되어 김일손 등 많은 사람들이 화를 당했으며, 김종직은 부관참시 되었다. 이 사건은 조선시대 4대 사화의 첫 번째로 사초 문제가 원인이 되었다고 하여 '史禍'라고도 한다.

'감성의 영역 > Hi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목월  (0) 2016.12.13
Posted by 김쥴리

1. 숫돌바위 (독도의 지질명소)
    동도 남서쪽 선착장 부근의 숫돌바위는 독도 의용수비대원들이 동도에서 생활할 당시 칼을 갈던 곳으로, 바위의 암질이 숫돌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숫돌바위는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수직으로 발달하는 주상절리와 다르게 주상절리를 눕혀놓은 형태의 수평주상절리가 형성되어 독특한 경관을 보여준다.


2. 물골 (독도의 지질명소)
    서도의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물골은 지하수가 빠져나와 해식동 내에 물이 고인다고 해서 '물골'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북동쪽으로는 탕건봉이 가까이에 위치해 있으며 남서쪽으로는 군함바위가 존재한다. 물골 앞에는 집괴암의 역들이 빠져나와 형성시킨 자갈해빈이 길게 퍼져있다. 주변의 조면암에 형성된 절리를 따라 물골에 모이는 물의 양은 하루에 약 400리터 정도에 불과하지만 서도에서 유일하게 식수를 얻을 수 있는 곳이다.


3. 탕건봉 (독도의 지질명소)
    서도 북동쪽에 위치해 있는 탕건봉은 봉우리 형상이 탕건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탕건봉의 전체 높이는 약 98m이며 하부 기반암층의 두께는 약 55-60m이고 상부 탕건봉 봉우리의 높이는 약 45-50m이다. 탕건봉의 남서쪽에는 자갈해빈과 물골이 위치해있고 남동쪽에는 촛대바위와 삼형제굴바위가 위치하고 있다. 


4. 삼형제굴바위 (독도의 지질명소)
    서도와 동도 사이에 위치해 있는 삼형제굴바위에는 3개의 해식동굴이 존재하며, 3개의 동굴을 아우르는 명칭으로 현지 어민들의 구전에 의해 '삼형제굴바위'라 불린다. 삼형제굴바위에는 세 방향의 해식동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 개의 해식동이 만나 sea arch를 이룬다. 외해로부터 오는 강하고 높은 파랑에 의해 이 바위에서 식생은 거의 없으며 갈매기들의 서식처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5. 천장굴 (독도의 지질명소)
    천장굴은 독도 동도의 중앙에 위치해 있는 침식와지 아래에 있는 해식동굴이다. 동도 정상 부근의 와지 아래 이 동굴로부터 하늘을 볼 수 있어서 '천장굴'이라 한다. 과거에는 천장굴을 포함하는 침식와지가 분화구라고 알려졌으나, 최근 학계의 조사에 따르면 단층작용으로 함몰된 지형이 침식작용을 받아 형성된 침식와지로 판단하고 있다.


6. 독립문바위 (독도의 지질명소)
    독도 동도의 남동쪽 끝자락에 위치해 있는 독립문바위는 바위의 형태가 마치 독립문과 흡사하여 독립문바위라 한다. 독립문바위는 외해로부터의 강한 파랑과 염풍화작용으로 인해 형성된 해식아치로서 주변의 다양한 지질학적 경관과 함께 독도의 대표적인 지질명소 중 하나이다. 독립문바위와 그 주변에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타포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해식애, 해식동굴, 시스택이 발달해 있다.



'Travel > Wish l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식물원/수목원]  (0) 2017.02.23
대구광역시_흙길  (0) 2016.12.13
[기차/경의선/도라산역] 통일 플랫폼  (0) 2016.12.13
Posted by 김쥴리


아주 신나는 도입부로 시작하는 영화이다.
(BGM: Another day of sun)


엄청 화난 상태로 보러갔던 영화였는데
파워 팝콘 섭취, 폭풍 사이다 드링킹, 그리고 상큼한 엠마 스톤으로 치유 :D


나 역시 요즘 미래에 대한 고민이 가득한 시기라
공감이 가는 부분도 많고, 많은 생각이 오갔던 것 같다.
특히 (BGM: Someone in the crowd) 라는 노래에서는 가사에 많은 공감을 했다.

오디션을 통과해야하는 배우 vs. 취업문을 통과해야하는 취준생

나 역시도 나에게 필요할지도 모르는 someone in the crowd를 찾아서
여기저기 헤매고 있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한숨)


기본적으로 춤과 노래를 좋아하는지라 이런 류의 영화를 좋아하기 때문에
지루할 것이라고 생각은 못 했는데 사실 중간에 잠깐 졸았다.

(근데 크레딧 올라갈 때 옆자리 애들 얘기 들으니까 그 아이들도 졸았더라 ㅋㅋ)


(BGM: Start a fire)

그 분(!)이 나올 줄은 몰랐는데 영화 보다가 중간에 깜짝 놀랐다.
노래는 뭐 말할 필요도 없지만 은근히 연기도 잘 하는 듯 ㅋㅋㅋㅋ

노래보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이 부분은 참 착찹한 부분이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 그리고 현실과의 타협.
이 두 가지는 언제나 꿈을 쫓는 사람들에게 딜레마로 작용하는 부분인 것 같다.

사람들은
현실을 무시하고 이상을 쫓는 사람을 철이 들지 않았다고 비난하기도 하고
현실과 타협한 사람을 겁쟁이라고 비난하기도 하지만
양쪽 모두 그저 쉬운 결정은 아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아직 그 갈래에서 고민을 하는 사람인 것 같다.


(BGM: Epilogue)

거의 마지막 부분쯤에 Mia & Sebastian's Theme가 다시 흘러나올는데,
내 심장이 덜컥 내려앉는 것만 같았다.


(하지만 그 둘은 서로를 마주보며 웃었다.)


높은 현실의 벽에 부딪혀 힘들던 시절, 그리고 찬란하게 빛나던 그들.
유일하게 서로를 믿어주고,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었던 그들.
그렇기에 그들은 웃을 수 있지 않았을까?




Posted by 김쥴리

블로그 이미지
김쥴리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4.9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